분류 전체보기(53)
-
JSP-[#JSP] 2.EL(Expression Language)
[ EL(Expression Language) ] 표현식, 액션 태그 20191007 Expression Language 표현식 또는 액션 태그를 대신해서 값을 표현하는 언어. Expression Language는 HTML 코드 내에서 JSP코드를 보다 단순하게 표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. 사전에 숙지하고 있어야 하는 필요성이 있지만 팀 프로젝트를 진행 할 때 도구로 사용하게 되면 좋은 생산성을 낸다. 출처 Youtube : Seoul Wis channel
2019.10.07 -
개발일지-[#JAVA] Project cannot reference itself
[ Project cannot reference itself ] cannot reference itself 2019-09-30 증상 파일 위치 변경 후 프로젝트 추가 한 상태에서 소스 파일에 에러 메세지로 "Project명 cannot reference itself" 라는 메세지가 출력되며 프로젝트의 Build Path 변경이 되지 않음 해결 Deployment Assembly 속성에서 deploy-path가 /WEB-INF/classes 인 항목을 제거 후 다시 입력 해당 값이 원인으로 추정
2019.09.30 -
JSP-[#JSP] 1.Class.forName()
[ Class.forName() ] Class 초기화 2019-09-30 이슈 Class.forName(); 라는 코드가 어떤 동작을 하는가 JDBC를 통해 DB와 Connection하는 코드를 작성 중 한번쯤은 보게되는 코드인데 어떤 동작을 하는 지 알고싶다. 분석 서블릿에는 클래스의 동적 로딩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. Class.forName(); 이라는 코드가 바로 그런 일을 하는 코드인데. 인자 값으로 드라이브의 경로를 받아서 해당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하고를 초기화시킨다. 좀 더 상세하기 기술하자면 위와 같은 코드를 통해 해당 경로의 드라이버 경로값을 받아 실행하면 클래스를 로드하고 JVM(메모리)에 있는 DriverManeger에 레지스터화를 시키는 것이다. 그를 통해서 DriverManager..
2019.09.30 -
리눅스-[#리눅스마스터 2급 실기] 5.프로그램 설치
[ 리눅스 마스터 2급 실기 ] 5.프로그램 설치 2019-03-16 목록 1. 파일 유형 / 파일 허가권 2. 파일 시스템 3. 셸 4. 프로세스 5. 프로그램 설치 6. 프린트 / 스캐너 7. XWindow 8. Network 프로그램 설치 RPM (Redhat Package Manager : 레드헷 사에서 만들어낸 패키지 관리 툴) ㉠sendmail-㉡8,14,3-㉢5.㉣fc11.㉤i585.rpm ㉠ : sendmail :: 패키지명 ㉡ : 8.14.3 :: 버전(주버전(8), 부버전(14), 패치번호(3)) ㉢ : 5 :: 릴리즈번호(문제를 개선할때마다 증가) ㉣ : fc11 :: 패도라에서 배포할 경우 붙여짐(생략가능) ㉤ : i586 :: 아키텍쳐 ( 파일이 설치 가능한 cpu ) ㉠kerne..
2019.03.16 -
리눅스-[#리눅스마스터 2급 실기] 4.프로세스
[ 리눅스 마스터 2급 실기 ] 4.프로세스 2019-03-15 목록 1. 파일 유형 / 파일 허가권 2. 파일 시스템 3. 셸 4. 프로세스 5. 프로그램 설치 6. 프린트 / 스캐너 7. XWindow 8. Network 프로세스 (가장 먼저 실행 되면 프로세스는 init 이고 PID는 1이다.) fork와 exec fork() 함수 [복제하는 방식] exec() 함수 [덮어씌우는 방식] 데몬 standalone 데몬 : 단독 실행 방식 inted 데몬 : (슈퍼데몬)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어하고 관리 inetd 타입 데몬 : Telnet, FTP 등의 데몬들이 inetd 타입 데몬에 해당 데몬 종료 방법 /etc/init.d/데몬/stop /etc/rc.d/init.d/데몬 stop service 데..
2019.03.15 -
리눅스-[#리눅스마스터 2급 실기] 3.셸
[ 리눅스 마스터 2급 실기 ] 3.셸 2019-03-15 목록 1. 파일 유형 / 파일 허가권 2. 파일 시스템 3. 셸 4. 프로세스 5. 프로그램 설치 6. 프린트 / 스캐너 7. XWindow 8. Network 셸 본셸 계열 (Bourne Shell) 본셸 ( /bin/sh ) : 벨 연구소 스티븐븐이 개발 / 유닉스에서 기본 셸로 사용 콘셸 ( /bin/ksh ) AT&T사의 데이비드콘이 개발 / 본셸 확장 배쉬셸( /bin/bash ) GNU에 의해 개발, LINUX 표준 셸,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, POSIX 와 호환 가능 지셸(/bin/zsh) : Paul에 의해 개발 / 강력한 History 기능 C셸 계열 C셸( /bin/csh ) : 버클리 빌조이가 1981년 개발 / C언어의 ..
2019.03.15